연구실 협약기관 소속 연구실을 연구실 명칭, 연구자, 연구키워드, 학과, 연구분야로 조회가 가능합니다.

양자소자연구실 (구. 분자및나노소자연구실)Quantum Materials and Devices Lab. (formerly Molecular and Nano Device Lab.)

KAIST
최성율 교수
전기및전자공학부

연구실 소개

Graphene & 2D Materials
- 2차원 소재 기반 혁신소자 개발을 위한 기본 물질 합성 연구
- 이론값에 근접한 전기적, 광학적 특성 발현을 위한 고품질/균일 2차원 소재 합성
- 도체인 그래핀(graphene), 반도체인 전이금속 칼코젠화합물(MoS2, MoSe2 등), 부도체인 hexagonal boron nitride(h-BN) 등 다양한 물성을 갖는 2차원 소재 합성 기술 보유
- 2차원 소재 기반 소자 제작을 위한 다양한 합성 방법 연구
- 기존 공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유기금속 화학기상증착법(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광열처리 합성법(photothermal synthesis), 원자층증착법(atomic layer deposition) 등 응용 분야 맞춤형 합성법 연구


Flexible Electronics & Display
- 그래핀 및 2차원 소재 성장, 공정기술 및 단위소자 제작기술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응용연구 수행
- 그래핀의 얇은 두께와 높은 전도성 특성을 활용해 디스플레이 분야의 투명전극을 대체할 수 있는 그래핀 전극기술 및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핑기술에 대한 연구 수행
- 2차원 반도체 소재를 디스플레이의 백플레인의 박막트랜지스터 채널소재로 활용
- 2차원 소재 기반의 초박막 전자소자 및 공정 최적화를 통한 저전력 집적회로 개발
- 2차원 소재의 장점을 활용한 유연소자 기반 플랫폼은 차세대 소프트 일렉트로닉스 시대의 핵심 연구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Neuromorphic Devices & Integrated Circuit
- 차세대 메모리 및 논리소자 개발을 위한 멤리스터 소자 및 array 연구
- 기존의 메모리와 로직이 분리되어있는 폰노이만 방식과는 달리 메모리소자 내에서 로직연산이 가능한 차세대 컴퓨팅 방식 연구
- 멤리스터 기반 인공지능 컴퓨팅용 뉴로모픽 시냅스 소자 기술 연구
- 개발된 멤리스터 시냅스 소자기반 device-to-system 인공신경망 시뮬레이션 진행
- 멤리스터 크로스바 어레이(crossbar array)를 통한 아날로그 컴퓨팅 및 MAC연산* 가속기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