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 협약기관 소속 연구실을 연구실 명칭, 연구자, 연구키워드, 학과, 연구분야로 조회가 가능합니다.

멀티스케일 분자 설계 연구실Complex Molecular Systems Multiscale Design Lab.

KAIST
김형준 교수
화학과

연구실 소개

불균일 촉매나 전기화학적 에너지 변환/저장 등의 현상을 이해하고 설계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물질의 계면에서 일어나는 물리화학적 현상을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계면에서는 (1) 복잡한 에너지 변환 과정이나 (2) 전자 전달 현상, (3) 여러 단계의 촉매 반응 등이 복합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기능성 에너지 소재를 이해하고 설계하기 위해서는 계면에서의 화학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이러한 중요도에도 불구하고 계면을 이해하고 연구하는 일은 매우 어렵습니다. 특히, "계면"은 그 특성상 "표면"과 달리 노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를 직접적으로 관측하고 실험적으로 연구하기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이론/계산 화학 방법이 이러한 소재 계면 연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소재 계면의 구조적, 동역학적 성질을 밝혀서 복잡한 소재 물성을 이해하고 예측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계면의 물리화학 현상을 이해하는 일은 이론/계산 화학 연구에 있어서도 마냥 쉬운 일이 아닙니다. 보통 각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특성에 따라 적용가능한 이론과 시뮬레이션 방법이 달라질 수 밖에 없는데, inter"face" 혹은 inter"phase"라는 말이 의미하듯이 계면에는 언제나 상이한 두 개 이상의 시스템이 공존하기 때문에 적절한 방법론을 찾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이에 우리 연구실에서는 다양하고 복잡한 계면 현상에 적용 가능한 멀티스케일 시뮬레이션 방법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소재 계면 현상을 분자 수준에서 이해하여 새로운 촉매 및 재료를 설계하는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