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 협약기관 소속 연구실을 연구실 명칭, 연구자, 연구키워드, 학과, 연구분야로 조회가 가능합니다.

광학재료 연구실Optical Materials and Coating Lab.

KAIST
배병수 교수
신소재공학과

연구실 소개

※ 연구 분야

- 솔-젤 실록산 하이브리드 재료 설계 및 제조

- 플렉시블(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플랫폼소개 개발

- 퀀텀닷(반도체, 페로브스카이트) 실록산 소재 응용기술 개발

- 5G 응용 저유전율 저유전손실 소재 개발

- 웨어러블 바이오 소자 개발


※ 연구실 소개

광학재료연구실은 한국과학기술원 신소재공학과 배병수 교수님과 대학원생들이 솔-젤 기술을 바탕으로 하여 광학 및 디스플레이 분야에 적용하는 물질을 연구합니다. 솔젤 기반의 실록산 하이브리드 재료는 새로운 광학적, 유전적 성질을 지니는 물질로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합니다. 또한 우리 연구실에서는 솔젤 용법으로 산화물 박막 반도체를 연구하는 곳이기도 합니다.

광학재료 연구실은 감히 대한민국에서 솔젤 분야에 있어서 선두하는 연구실이라 할 수 있습니다. 우리 연구실은 플렉시블 및 웨어러블 기기 및 고성능 LED와 미래 디스플레이 기술 분야에서 혁신적인 재료로 발전을 이뤄내고 있습니다.

우리 연구실은 열적 안정성이 뛰어나고, 저 열팽창 특성을 지니면서도 투명한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GFRHybrimer)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기판 및 커버 윈도우로 개발하였으며, 이러한 GFRHybrimer를 기반으로 금속 나노 와이어와 금속 메쉬를 활용한 강화된 투명전극 필름을 개발하였습니다. 또한 열적 안정성 (UV 안정성)을 지닌 고굴절율 하이브리머를 개발하여 백색 LED 와 UV LED의 Encapsulation 재료로 개발하였습니다. 열적 안정성을 지닌 하이브리머로 Dye 및 퀀텀닷을 보호하는 Encapsulation 재료로 개발하여 안정한 형광 물질로 개발하여 고성능 디스플레이 및 LED에 적용할 물질을 개발하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고화질, 빠른 응답속도, 대면적으로 이어질 미래 디스플레이에 적용될 수 있도록, 솔젤 용법을 활용한 고 이동도, 고 안정성 용액 공정 산화물 반도체를 연구하고 있습니다.